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변화를 예측하려면, 우선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기술 변화를 모르면 미래에 대한 준비는 커녕 변화를 제대로 따라잡기조차 힘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세계경제포럼은 매년 초에 이슈가 되고있는 주제를 정해서 열리는데, 2016년 다보스 포럼의 주제가 바로 '4차 산업혁명의 이해'였습니다. 당시 다보스 포럼에서 발표된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s)라는 제목의 보고서는 엄청난 관심을 끌었습니다. 일자리 변화에 대해 파력적인 예측을 하면서 동시에 변화를 이끄는 기술적인 요인에 대해서도 강조했기 때문입니다.
다보스 포럼이 주목했던 혁신적인 기술은 모바일 인터텟과 클라우딩 기술, 컴퓨터와 빅 데이터 기술 등입니다. 특히 디지털 기술 중에서도 사물인터넷(IoT), 공유경제 및 클라우드 소싱, 로봇, 자율 주행, 인공지능(AI), 3D 프린팅 등릉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로 제시했습니다. 또한 신에너지공급과 기술, 첨단소재와 생물공학 등 혁신적인 기술에도 주목했습니다. 이런 기술들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있는데, 다보스 포럼을 비롯해 4차 산업혁명 전문가들이 강조하고 있는 가장 주요한 핵심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IoT(Internet of Tings)
IoT(Internet od Thing)라고 부르는 사물인터넷 기술은 사람, 사물, 공간등 모든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활용되는 초연결명을 의미합니다. 각각의 사물에 센서가 달려있고 모두 인터넷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람의 개입 없이도 사물과 사물이 서로 연결되고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2. 빅데이터(Bid Data)
오늘날 빅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습니다. 기업은 방대한 양의 고객 소비 패턴을 데이터로 축척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품 추천 서비스나 신제품 개발 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3. 블록체인(Blockcahain)
2018년 초,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큰 사회적 이슈가 되었는데, 바로 이 암호화폐를 가능하게 해주는 원천기술이 블록체인(Bloclchain)입니다. 블록체인은 블록이라고 불리는 거래 장부를 중앙 서버에 보관하지 않고, 각자 개인 컴퓨터에 분산하고 이를 체인처럼 연결해 공개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해킹이 불가능하고 중개 기관의 개입 없이도 개인과 개인 간의 거래가 가능한 기술이기에, 유엔미래보고서 2050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이 미래를 바꿀 10대 기술중의 하나라고 평가하였습니다.
4. 3D 프린팅(3D Printing)
3D 디지철 설계도나 모델을 기반으로, 원료를 층층이 쌓는 방식의 출력을 통해 입체적인 물체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3D 프린터는 디지털 공작기계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계로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5.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
스마트 모발리티(Smart Mobility)기술인 주율 주행 자동차는 사람이 운전하지 않아도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말하며, 초고속 5G통신,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들이 자동차에 집약적으로 적용된 것입니다.
자동차 기술뿐만 아니라 무인비행체 드론이나 전동 킥보드등 소형 개인 이동수단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언젠가는 거의 모든 교통수단이 지능화될 것입니다.
6.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는이란 인강의 언어를 알아듣고, 사람처럼 지각하고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인류가 개발한 기술 중 가장 첨단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의 미래학자 래이먼드 커즈와일(Raymond Kurzweil)은 인공지능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 2045년쯤에는 인간 두뇌를 능가하게 될 것리아고 예측했습니다. 인공지능 기계가 인간을 넘어서는 이 시점을 미래할자들은 특이점(Singularity)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교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과 교육의 미래 : 앞으로의 큰 변화 (0) | 2021.03.02 |
---|---|
부산 SW인재 양성 산실 부산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3월 2일 개교 (0) | 2021.02.25 |